• 정부지원 알림톡 카톡채널
  • 정부지원 알림톡 추가/공유하면 추첨을 통해 선물을 드립니다.

고물가 시대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


오늘은 고물가 시대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에 대한 정보를 다뤄보려고 합니다.

고물가 시대 1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물가가 치솟고 있습니다. 이전부터 물가는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었지만 코로나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급속도로 빨라지게 됐습니다.

계속 물가가 오르고 있다고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는데, 우리나라 물가는 전세계와 비교했을 때 어느정도 일까요? 또, 이렇게 물가가 치솟는데 우리는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요?

고물가 시대 4

[g_h id=’h2′]생활비가 가장 비싼 도시는?[/g_h]

지난 7일 블룸버그 등 국제 인력관리 컨설팅 업체에서 외국인이 살기에 가장 비싼 도시를 순위를 매겨서 보도를 했습니다.

  1. 홍콩
  2. 미국 뉴욕
  3. 스위스 제네바
  4. 영국 런던
  5. 일본 도쿄
  6. 이스라일 텔아비브
  7. 스위스 취리히
  8. 중국 상하이
  9. 중국 광저우
  10. 한국 서울

전세계의 도시를 상대로 우리나라의 물가는 10위를 기록하고 있고, 1위는 3년째 홍콩이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조사기관은 주택 임차비와 교통비, 전기/가스/수도요금, 음식, 가정용품, 의류, 서비스, 외식비, 여가비, 술과 담배 등등의 비용을 분석해서 생활비를 산정했습니다.

생활비는 우리가 생활을 하는데 꼭 써야 하는 비용으로 절대적으로 줄이기가 힘든 고정지출 중 하나이며 줄이게 되면 삶의 질이 낮아지게 됩니다.

이 중 심각한 것이 식비 입니다. 5월 기준으로 외식 물가지수는 작년 12월보다 4.2%가 높아지게 됐습니다.


[g_h id=’h2′]외식 물가지수 4.2% 늘어나…[/g_h]

집에서 음식을 해먹기 귀찮아서 배달음식을 시켜먹는 분들이 많이 있을 겁니다. 하지만 이제는 기본 16,000~ 20,000원까지 치킨값이 올랐기 때문에 한달에 2번 시켜 먹었다면 1번 밖에 못드시는 분들이 늘어나게 될 겁니다.

우리들이 주로 시켜먹는 외식 품목 중 39개가 모두 올랐으며, 그 중 치킨은 6.6%나 상승을 하게 됐습니다. 이렇게 지속적으로 물가가 상승하게 된다면 한 마리에 3만원하는 치킨을 만날 수가 있을 겁니다.

치킨의 뒤를 이어 짜장면은 6.3%, 떡볶이는 6%, 칼국수는 5.8%, 짬뽕은 5.6% 등으로 상승을 했고 이렇게 상승을 하게 된 전반적인 이유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함으로 인해서 각국에 원자재와 식량 수출이 제한조치 당함으로 인해서 큰 영향을 받게 된 것 입니다.

우리나라 물가는 원래 이렇게 비쌌을까요?


[g_h id=’h2′]대한민국 50년전 물가는?[/g_h]

외식 물가지수가 4.2%가 늘어났다고 하면 수치상 크게 와닿지 않게 됩니다. 예를 들어 외식비가 3만원 중 4.2%가 오른다 하면 1,260원이기 때문에 큰 타격을 받지 않습니다.

하지만 지금과 50년전 우리나라 물가와 비교를 하게 된다면 엄청 큰 변화가 있다는 것을 느낄 수가 있습니다. 우리나라 물가정보를 통해서 우리나라 물가를 알아 볼 수가 있습니다.

고물가 시대 3
클릭시 확대됩니다.

1970년대 짜장면 가격은 한그릇에 100원이었습니다. 하지만 2000년에 들어서는 2533원이었고, 2020년에는 4771원 입니다. 50년 전에 비해서 47배나 오르게 된 것 입니다.

서민들의 고단함을 달래주는 소주와 담배 또한 큰 폭으로 인상한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현재 편의점에서 2000원 가까이 하는 소주가 1970년에는 65원이었습니다. 담배는 한갑에 5000원정도 하지만 1970년에는 50원정도 했습니다.

서민들의 발이 되어주는 지하철은 현재 1250원 입니다. 1974년 8월에 첫 개통했을 때 1구역의 기본요금은 30원이었습니다. 무려 41.6배나 오르게 됐습니다.

지난 세월을 돌이켜보면 현재 물가가 얼마나 올랐는지 느껴지실 겁니다. 이렇게 물가는 엄청 올랐는데 우리가 받는 월급은 얼마나 올랐을까요?


[g_h id=’h2′]월급은 얼마나 올랐을까?[/g_h]

우리나라 통계청에 따르면 1970년대 우리나라 1인당 국민 총소득이 9만원이었다고 합니다. 2021년 기준 우리나라 총소득 40,247,000으로 70년대와 비교해서 447배나 오르게 됐습니다.

쉽게 설명을 해드리자면 1972년 9급(현 5급) 공무원 1호봉의 월급이 17,300원이었고 현재 5급 1호봉 월급은 260만원으로 150배나 오르게 된 것 입니다.

물가 상승폭보다 소득 상승폭이 훨씬 크지만 왜 우리의 삶은 더욱더 팍팍해졌을까요?

이 질문에 대해 전문가들은 집값이 너무나 많이 올랐고, 과거에 비해 소비 할 수 있는 품목이 다양해졌으며 글로벌 경제 시장에 따라 영향을 받기 때문이라고 전했습니다.

치솟는 물가에 대한 얘기를 듣고나니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야 하나라는 생각에 답답함이 밀려드는 분들이 많을 겁니다. 보다 나은 삶을 살기 위해서는 금융공부를 해야 합니다.


[g_h id=’h2′]금융공부를 해야 하는 이유[/g_h]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는 글로벌 경제 시장이 정한 통화량 및 금리 정책에 따라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으면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금융들은 우리 삶에 영향을 끼치지만 정규교육 안에 포함되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금맹’인 분들이 아주 많습니다. 금융을 알고 모르고에 따라 경제에 대한 빈부격차가 발생을 하게 됩니다.

흔히 사회생활을 시작하게 되면 월급의 일부를 저축하게 됩니다. 초반에는 빈부격차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일정 수준의 돈이 쌓이고 난 다음부터는 금융에 대해서 모르는 사람과 아는 사람의 빈부격차가 시작이 됩니다.

매달 30만원씩 3년을 모으게 되면 1080만원이 통장에 모이게 됩니다. 금융에 대해서 잘 모르는 사람은 해당은행의 정기예금상품에 묶어두게 될 겁니다.

고물가 시대 2

현재 정기예금 이자는 1년 2.95%, 2년 2.97%, 3년 2.99%으로 최대 3년까지 묶어두게 되면 758,862원의 이자소득을 얻을 수가 있습니다. 만약 보다 나은 이자를 주는 곳이 있다면 그곳에 정기예금을 들어두는 것이 좋습니다.

분명 자산이 늘어난 것이기 때문에 좋은 것이지만 물가상승률을 제하고 나면 남는 금액은 거의 없게 됩니다.

저축과 정기예금을 통해 돈을 모으는 습관을 기르고 일정소득이 모으기 전까지 투자에 대한 공부를 한 다음 투자를 직접해 보거나 잘 모르는 분들은 신탁회사나 은행을 통해 투자를 진행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지금 바로 주식을 투자하라는 글은 아니며 금융과 투자에 대해 공부를 하고 투자를 한다면 보다 나은 삶을 살아가는데 큰 도움이 될 수가 있습니다.

밝은 미래를 꿈꾸고 힘든 일은 곧 지나갈 것이 라는 막연한 믿음이라도 있어야 조금이라도 세상이 아름답고 살기 쉬워지게 됩니다.

읽으신 모든 분들이 보다 밝은 미래를 꿈꾸실 수 있길 바래봅니다.


[g_h id=’h2′]재테크 참고 유튜브[/g_h]

유튜브를 통해 돈을 벌 수 있다는 것이 급속도로 퍼지게 되면서 재테크 강의나 기타 질 좋은 컨텐츠들을 무료로 볼 수 있게 됐습니다.

엄청 많은 유튜브 채널들이 있지만 그중 재테크하면 손에 꼽히는 유튜버들이 있습니다. 총 6개의 유튜브 채널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이 중에서 알고 있고 이미 채널을 구독해서 매번 컨텐츠를 받아보시는 분들이 있을 겁니다. 경제 및 재테크, 금융은 지루하기 짝이 없고 관심을 갖기가 쉽지 않습니다.

정말 쉽지 않겠지만 관련 컨텐츠들을 하루에 10분~ 30분정도씩 매일 보다보면 본인도 모르게 경제 및 재테크, 금융에 대한 지식이 조금씩 쌓이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겁니다.

어떤 공부든 하루 아침에 마스터한다는 생각보단 서서히 스며들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g_h id=’h2′]숨은보조금 조회하기[/g_h]

정부와 지자체에서 각종 지원금을 지급해주고 있지만 모르고 신청을 못하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런 분들을 위해서 정부에서 보조금24 라는 서비스를 만들어놨고, 추가로 긴급지원정책이 라는 사이트를 통해 한번에 조회 할 수 있는 곳을 만들어 놨습니다.

자세한 내용을 확인 후 꼭! 신청을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posts_list title]

WP Twitter Auto Publish Powered By : XYZScript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