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원숭이두창 바이러스 원인 치사율 증상에 대한 정보를 다뤄보려 합니다.
아직 코로나 바이러스가 종식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원숭이두창 바이러스가 급속으로 확산되고 있어 관련뉴스가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습니다.
22일 원숭이 두창 의사환자 2명의 진단검사 결과 내국인 중 1명이 최종양성으로 확인됐다 밝힘으로 인해 감염병 위기경보가 ‘관심’에서 ‘주의’로 격상이 됐습니다.
코로나에 이어 또 다른 감염병이 한반도를 덮치는 것 일까요? 원숭이두창 바이러스 원인은 무엇이고 증상과 치사율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g_h id=’h2′]원숭이 두창이란?[/g_h]
원숭이 두창 바이러스는 1958년 덴마크의 연구실의 원숭이에서 처음 발견이 됐으며, 1970년 콩고에서 사람으로 감염이 된 사례가 나오게 됐습니다.
원숭이두창은 천연두와 비슷하지만 증상은 약한 바이러스성 감염질환 입니다. 아프리카 중서부 지역의 풍토병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독일에 이어 벨기에와 프랑스, 이탈리아, 네덜란드, 포르투갈, 스페인, 스웨덴, 영국 등 최소 유럽 9개국에서 확인이 되었고 추가로 미국과 캐나다, 호주, 중동의 이스라엘, 유럽의 스위스 등에서 발견이 되고 있습니다.
[g_h id=’h2′]원숭이 두창은 동성자간 성병?[/g_h]
WHO와 영국 통계를 보면 원숭이두창 환자 99% 남성이라는 공식 통계가 나오게 됐습니다.
6월 15일 기준으로 WHO의 집계에 따르면 원숭이두창 확진 환자는 42개국 2,103명이며 그중 인구학적 정보가 알려진 환자는 14개국의 486명 입니다.
468명 중 남성의 비율은 99%에 해당이 되며 대부분 남성과 성관계를 맺은 경험이 있다고 답을 했습니다. 이로 인해서 원숭이 두창은 동성애만 걸린다는 프레임이 씌여질 수가 있습니다.
위와 같은 원인 뿐만 아니라 감염된 사람의 혈액이나 체액, 피부, 점막, 병변이나 접촉, 병변이 묻은 의복이나 침구류 등으로 확진이 될 수가 있으며 다행히 공기 전파 감염은 아직 보고가 되지 않았습니다.
만약 원숭이 두창이 의심이 된다면 질병관리청 콜센터 1339로 꼭! 문의를 하셔야만 합니다.
[g_h id=’h2′]원숭이 두창 증상은?[/g_h]
원숭이 두창 증상은 발열과 근육통, 오한, 피로감 등이며 심하게 나타날 경우 얼굴과 생식기, 항문 등에 수두와 천연두(두창)처럼 발진이 나타난 다음 액체가 찬 수포가 발생하게 됩니다.
감염이 되면 2~ 4주간 지속이되며, WHO에 따른 치사율은 3~ 6% 내외로 조사가 됐습니다. 원숭이 두창 바이러스는 코로나19 때 진행했던 유전자증폭검사(PCR)를 활용해서 감염여부를 확인 할 수가 있습니다.
또, 원숭이두창 바이러스 시약개발을 2016년에 완료를 했기 때문에 대응을 할 수 있는 상태 입니다.
[g_h id=’h2′]원숭이 두창 치료방법은?[/g_h]
원숭이 두창 바이러스 전용백신은 개발되지 않았지만 기존 천연두 치료제 약품으로 치료 할 수 있다고 밝혀졌습니다. 덴마크 바바리악 노르딕사에서 개발한 ‘임바넥스’ 라는 백신이며 약 85% 정도의 예방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합니다.
현재 질병관리청에서는 국내에서 활용이 가능한 ‘시도포비어’와 ‘백시니아 면역글로불린’은 의료기관에 필요시 배포해 사용을 하도록 해뒀으며 바이러스 치료를 위한 ‘테코비리마트’ 500명 분은 7월 중에 국내 도입 예정 입니다.
언제 우리나라에 원숭이 두창 바이러스 환자가 생길지 모르지만 이에 대비해서 질병청에서 진단검사법과 실시간 유전자검사를 마련해두었으니 안심을 해도 될 것 같습니다.
[g_h id=’h2′]원숭이 두창과 코로나 바이러스 비교[/g_h]
원숭이 두창 바이러스는 이미 알려진 바이러스이며, 이에 따른 백신과 치료법이 이미 확보가 된 상태 입니다. 면역력이 약한 사람한테 이 바이러스는 치명적 일 수가 있지만 대부분 경미한 증상이 나타나고 완치가 됩니다.
바이러스가 퍼진다 할지라도 코로나에 비해 느리게 감염이 되며, 코로나 바이러스에 비해 감염 여부도 금방 할 수가 있어 초기 대응을 빠르게 할 수가 있습니다.
이렇듯 코로나 바이러스처럼 전세계적으로 대혼란을 일으키지 않을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g_h id=’h2′]숨은보조금 조회하기[/g_h]
정부와 지자체에서 각종 지원금을 지급해주고 있지만 모르고 신청을 못하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런 분들을 위해서 정부에서 보조금24 라는 서비스를 만들어놨고, 추가로 긴급지원정책이 라는 사이트를 통해 한번에 조회 할 수 있는 곳을 만들어 놨습니다.
자세한 내용을 확인 후 꼭! 신청을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posts_list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