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퇴직금 지급 기준 기한 계산법 중간정산 더 받는 방법 에 대한 정보를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모든 직장인들은 퇴직을 할 때 퇴직금을 받게 됩니다. 이때 퇴직금 더 받는 방법 이 있는데 이걸 몰라서 100만원 손해를 보는 일들이 많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dable widget_id=’WXp9x8oY’][/dable]
[g_h id=’h2′]퇴직금 지급 기준은?[/g_h]
퇴직금 지급 기준은 근로기간이 1년 이상인 근로자이거나 4주 동안 1주일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인 분은 퇴직금 지급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
퇴직금은 약 한달분의 평균임금을 퇴직금으로 근로자에게 지급을 해줘야하며, 급여 및 부담금 산정 방법의 적용 등에 대해 차등을 하게 된다면 3년 이하의 징역 및 2,000만원의 벌금형에 처할 수가 있습니다.
[g_h id=’h2′]퇴직금 중간정산 방법은?[/g_h]
현재는 퇴직연금을 통해 퇴직금을 계산해서 지급을 해주기 때문에 퇴직금 중간정산 사유에 적합하지 않다면 중간정산을 받을 수가 없습니다.
- 무주택자인 근로자가 본인 명의로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
- 무주택자인 근로자가 전세금 혹은 보증금을 내야 하는 경우
- 6개월 이상 근무한 근로자 혹은 배우자, 배우자의 부양가족이 질병이나 부상으로 의료비가 근로자의 연간 임금 총액의 1천분의 125를 초과해서 부담해야 하는 경우
위와 같은 사유가 있을 경우, 퇴직금 중간정산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
[g_h id=’h2′]퇴직금 계산 방법은?[/g_h]
퇴직금은 1년 이상 근무한 근로자들은 지급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 이때 평균임금은 퇴직일 이전 3달동안 근로자가 받은 월급의 총합계를 일수로 나눈 금액 입니다.
1일 평균임금 X 30일 X 총 계속근로기간 / 365
이 계산법은 대략적인 계산법이기 때문에 달라질 수가 있습니다. 특히나 육아휴직이나 추가 임금이 퇴직금에 포함된 경우 달라지게 되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직접 계산하기 번거로우시면 아래 퇴직금 계산기를 통해 계산을 하시면 편하게 대략적인 퇴직금을 알 수 있습니다.
[g_h id=’h2′]퇴직금 100만원 더 받는 방법[/g_h]
- 근로계약서 작성시, 근로기간 잘 설정하기
- 연장근로 수당 및 잔업 등 인센티브 많은 달 선택하기
- 통상임금으로 퇴직금 계산하기
근로계약서 작성시, 근로기간 잘 설정하기
근로계약서를 작성 할 때 1년 계약서를 쓰게 됩니다. 이때 2022년 5월 10일부터 2023년 5월 8일까지 쓴다면 364일로 계산이 됩니다.
이때 364일 날을 기점으로 계약연장을 하지 않게 된다면 퇴직금을 받지 못하고 퇴사를 당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근로계약서 작성 할 때 날짜를 잘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연장근로 수당 및 잔업 등 인센티브 많은 달 선택하기
퇴직금은 퇴직 전 3개월 월급을 평균내서 지급을 하게끔 되어져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퇴사의사가 있다면 연장근로 수당과 같이 인센티브를 많이 받은 달을 3개월 안에 포함을 시켜서 퇴사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해야지 기존 퇴직금보다 100만원정도 더 많이 받고 퇴사를 할 수가 있습니다.
통상임금 VS 평균임금 퇴직금 계산하기
퇴직금 정산을 받을 때, 통상임금으로 하느냐 아니면 평균임금으로 하느냐에 따라서 최고 470만원 정도 차이가 나기도 합니다.
- 통상임금
근로자에게 정기적이고 일률적인 소정근로나 총 근로에 대해서 지급을 하기로 함 시급, 일급, 주급, 월급이나 도급 금액을 말합니다. - 평균임금
산정 할 사유가 발생한 날 이전 3개월동안 해당 근로자에게 지급 된 임금의 총액을 그기간 총일수로 나온 금액을 말합니다.
기본적으로 퇴직금은 평균임금으로 적용이 됩니다. 하지만 통상임금이 더 클 경우에는 평균임금이 통상임금으로 됩니다.
이는 근로기준법 제2조 제 1항 제 6호에 의해서 산출 된 금액이 근로자의 통상임금보다 적으면 통상임금을 평균임금으로 한다고 명시가 되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부분이 있으니 추후 퇴직금을 받을 때 참고하셔서 조금이라 퇴직금을 더 받으셨으면 좋겠습니다.
[g_h id=’h2′]복지멤버십 신청 안내[/g_h]
우리나라에서 국민들 대상으로 지원을 해주는 복지제도가 무수히 많습니다. 복지 대상자라 할지라도 받을 수 있는 복지에 대한 정보를 얻지 못해 나중에 복지혜택을 받는 경우들이 많이 있습니다.
기존 복지멤버십이 라는 서비스를 통해 검색 후 수급 가능 조건을 확인 할 수가 있었지만 9월 5일부터는 내 상황고 조건을 기준으로 해서 맞춤형 복지 서비스와 함께 신청방법을 안내 받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본문에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g_h id=’h2′]정부지원 미소금융 대출 안내[/g_h]
2020년 기준 불법사금융 실태조사 보고에 따르면 만 20세 이상 성인 5,000명 중 대부압체를 이용 해본 경험이 있는 분들은 633명(12.7%)이 라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대부업체를 찾는 이유가 기존 은행은 대출을 받기 까다롭기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실제 신용점수가 낮거나 직장이 없으면 대출을 받기 쉽지 않습니다.
이렇다보니 불법사금융이나 대부업체를 이용하는 것 입니다. 이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정부 산하기관인 서민금융진흥원을 통해서 최대 5년 만기, 1500만원 한도 내로 대출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
현재 대출이 필요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통해서 비대면으로 신청 할 수 있습니다. 정부지원대출은 신용불량자도 승인이 났다는 소문이 날 정도로 높은 승인율을 자랑하니 한번 알아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