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과태료 범칙금 차이 전환 에 대한 정보를 제공을 해드리려고 합니다. 속도위반이나 교통법규를 어기게 되면 일명 ‘상품권’이라고 불리는 과태료 고지서가 집으로 오게 됩니다.
과태료 고지서에는 결과적으로 범칙금 납부를 하게 되면 3만원, 과태료 납부시 4만원 그리고 사전납부를 하게 되면 32,000원을 내라고 나와 있습니다.
여기서 범칙금 3만원을 내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렇게 3만원을 내게 된다면 불이익을 받게 됩니다. 왜 그런지 아래 본문을 통해 안내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만약 내용이 마음에 드셨다면 주변 분들에게 공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g_h id=’h2′]과태료 범칙금 차이는?[/g_h]
과태료와 범칙금은 같은 것이 절대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과태료와 범칙금에 대한 것은 많이 들었지만 정확한 뜻을 모르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과태료
과태료라는 것은 과속이나 신호위반을 했을 때, 무인카메라에 적발이 됐을 때 내게되는 벌금 입니다. 무인카메라로 단속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운전자가 누구인지 정확히 알 수가 없기 때문에 과태료 고지서에 과태료와 범칙금 둘다 표시가 되고 차량 번호판을 기준으로 해서 집으로 날아오게 되는 것 입니다.
과속을 하거나 신호위반을 했을 경우, 벌점은 생기지 않지만 범칙금보다 금액이 더 높게 나옵니다.
범칙금
범칙금은 신호위반이나 속도위반 등의 교통법규 위반을 했을 때, 형사나 경찰관에게 단속 됐을 때 내는 벌금 입니다. 형사나 경찰관한테 단속이 되면 운전자 식별이 가능하기 때문에 과태료 납부는 불가능 합니다.
이렇게 적발이 됐을 때는 범칙금과 벌점이 동시에 부과 됩니다.
즉, 과태료는 징계를 의미하고 범칙금은 형벌을 의미하게 되는 것 입니다.
속도위반 | 범칙금 및 벌점 | 과태료 |
20km/h이하 | 3만원, 0점 | 4만원(사전납부시 3만 2천원) |
20km/h초과~ 40km/h이하 | 6만원, 15점 | 7만원(감경없음) |
40km/h초과~ 60km/h이하 | 9만원, 30점 | 10만원(감경없음) |
60km/h초과 | 12만원, 60점 | 13만원(감경없음) |
속도위반을 했을 때 무인단속카메라에 적발이 됐다 가정을 해보겠습니다. 20km/h초과~ 40km/h이하를 보면 범칙금 및 벌점은 6만원에 벌점 15점을 받게 됩니다. 과태료는 7만원을 내게 됩니다.
여기서 금액이 저렴하다고 범칙금으로 내게 된다면 벌점이 같이 쌓이게 됩니다. 이로 인해서 벌점 40점 이상이 되면 운전면허 정지가 되거나 보험료 할증 등의 불이익을 겪을 수가 있습니다.
[g_h id=’h2′]보험료 할증기준[/g_h]
위반내용 | 보험금 할증 비율 |
무면허, 뺑소니 | 20% |
음주운전 2회 이상 | 20% |
음주운전 1회 | 10% |
신호위반, 중앙선 침범, 속도위반 4회 이상 | 10% |
신호위반, 중앙선 침범, 속도위반 2~ 3회 | 5% |
위 내용은 도로교통법 중 중대법규 위반에 의한 자동차 보험료 할증기준 입니다. 보홈사마다 조금씩 비율이 다를 수가 있지만 대체적으로 위 기준으로 할증이 됩니다.
많은 운전자들이 흔하게 하는 교통법규 위반은 신호위반이나 속도위반 일 겁니다. 이때 마다 범칙금을 내게 된다면 같이 벌점이 쌓이게 되면서 보험료 할증까지 될 수가 있습니다.
범칙금이 물론 조금 더 저렴하긴 하지만 벌점이 뒤따라오기 때문에 이점을 참고하셔서 납부하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는 글
[g_h id=’h2′]준비안하면 간병인 비용만 매달 300만원 지출![/g_h]
옛말에 건강을 잃으면 모든 것을 잃게 된다는 말이 있습니다. 몸이 건강하지 않으면 일을 하지 못하게 되고 그로 인해서 경제적으로 매우 힘들어지게 됩니다.
만약 가족이 있다면 그 짐을 가족들이 함께 짊어져야 합니다. 특히 가족들이 간병이 필요할 정도의 상태라면 더욱더 힘들어지게 됩니다.
한달 평균 간병인 비용은 월 200~ 300만원이 들어갑니다. 이때 가사간병방문서비스가 큰 힘이 될 수가 있습니다.
이전에는 기초생활수급자나 차상위계층만 지원을 받을 수가 있었지만 저소득층까지 범위가 확대됨으로 인해서 더 많은 분들이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됐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본문을 통해 확인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posts_list title]